카테고리 없음

장미 농약 정확하게 쓰는 방법

millart 2025. 6. 9. 10:34
728x90
반응형
SMALL

🌹 주요 장미 해충과 대응 농약

해충 이름피해 증상사용 농약 예시
진딧물 잎 뒷면과 새순에 군집, 수액 흡수 아타라, 파사트, 모스피란, 아카리사이드류
응애(거미진드기) 잎에 노란 반점, 거미줄, 잎 마름 오마이트, 님그린, 디아지논, 살충·살비혼합제
총채벌레 꽃과 어린잎에 은색 반점, 변형 스미치온, 나비톤, 프라이드, 아타라 등
장미굴파리 잎이 말려들고 안에 애벌레가 있음 마라톤, 디프론, 트리그아조 등의 살충제
흰가루병 (병해) 잎에 흰가루 발생 유황계 농약 (디노캡, 티오파네이트), 베노밀
 

※ 병해와 해충이 동시에 발생하는 경우, 살균제와 살충제를 섞어 쓰기도 하나 혼합 시 약해가 생길 수 있으므로 주의 필요


✅ 농약 정확하게 쓰는 방법

1. 희석 비율 및 사용 시기

  •  농약은 반드시 제품 라벨에 있는 희석 비율 준수 (예: 1000배 희석 → 1리터 물에 1ml 희석)
  •  보통 오전 9시 이전 또는 오후 5시 이후 살포 (햇볕이 강하면 약해 발생 가능)
  •  병충해 초기에 적용하면 가장 효과적

2. 살포 방법

  •  식물 전체를 고루 적시되, 흐를 정도로 과도하게 뿌리지 않음
  •  잎 뒷면, 줄기, 꽃봉오리도 꼼꼼히 살포

⚠️ 조심해야 할 부분들

  1. 약해 주의
    •   기온이 30도 이상일 때 살포 금지
    •   어린 묘목이나 신엽에는 살포량 줄이기
  2. 혼용 금지 조합
    •   유제 + 유제, 유제 + 유황제 등은 혼용 시 약해 우려
    •   농약 혼용 시, 반드시 “혼용표” 확인 (농촌진흥청 또는 농약 판매처에서 제공)
  3. 살포 간격
    •   동일 약제를 연속으로 쓰면 내성이 생김 → 다른 계통 약제로 교대 살포
    •   보통 살포 후 7일~14일 간격 유지
  4. 보호장비 착용
    •   마스크, 장갑, 긴소매 착용 필수
    •   바람 불지 않는 날에 살포
  5. 잔류 농약 주의
    •   실내에서 키우는 장미는 농약 살포 후 실내 환기 철저
    •   가정용은 가능한 저독성·천연성분 제품 사용 권장

🌿 천연 및 친환경 대안

  •  마늘·고추·담배 우린 물, 유기농 등록 자재 (예: 황토유황제, 계피추출제)
  •  천적 곤충 이용: 진딧물 천적인 무당벌레 방사 등

 

 

 

🌸 장미 해충별 방제 달력 (월별 발생 시기)

해충 종류  3월 4월  5월 6월 7월  8월 9월 10월

 

진딧물        
응애 (거미진드기)    
총채벌레      
장미굴파리            
흰가루병          


※ ● 표시는 주의해서 방제를 시작하거나 유지해야 할 시기를 의미합니다.

 

🧼 사용 및 관리 팁

  •   교호 살포: 같은 계통의 약제를 2회 이상 연속 살포하면 내성 발생 위험 → 최소 2~3가지 약제 준비 필요
  •   비 오는 날 피하기: 살포 후 4시간 이내 비가 올 경우 재살포 필요
  •   전정 직후 살포 금지: 상처 부위로 약해 우려 있음
  •   살포 후 관리: 살포 3~4일 후 효과 확인, 남은 약은 밀봉 보관 또는 폐기
728x90
반응형
LIST